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소아·청소년 ADHD, 치료의 시작은 ‘뇌 질환으로 이해’
  • 편집국
  • 등록 2024-03-28 19:40:04
기사수정

소아·청소년 ADHD, 치료의 시작은 뇌 질환으로 이해’ 

전두엽 발달 지연이 주의산만·충동성·과잉행동으로 나타나

기본은 약물치료부모교육과 학습·인지행동 등 상호보완적 치료 필요 

 

ADHD(주위력결핍 과잉행동장애환자가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소아 ADHD 환아들을 위해서는 먼저 ‘ADHD는 아동들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뇌 질환임을 인식하고한시라도 빨리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2년 소아 ADHD는 37,609청소년 ADHD는 53,652명으로 전년 대비 각각 30%, 29% 증가했다소아·청소년 환자는 91,261명으로 전체 환자 139,696명의 65%에 달한다 소아 ADHD에 대해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아랑 교수와 함께 풀어 가보자

 

[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HIRA 빅데이터 개방 포털]

 

겉도는 행동에 친구와 마찰따돌림당하기도

ADHD는 소아에서 가장 흔한 정신질환으로 주의산만충동성과잉행동의 증상을 동반한다대부분 초기 아동기인 7세부터 12세 이전까지 증상이 나타난다수업 시간 자리에 가만히 앉아있기 어려워하고집중해서 듣지 않다가 딴소리한다거나 다른 사람의 물건을 허락 없이 만지거나 사용한다대화에 집중하지 못하고 자기 뜻대로 행동하며 주위를 살피는 힘이 부족하다이런 이유로 학교에서 따돌림을 당하거나 또래와 마찰을 일으키거나 새로운 친구를 사귀거나 관계를 지속하기 힘들어 스포츠와 같은 협력이 필요한 활동방과 후 활동을 즐기기 힘들 뿐 아니라 학업 수행에도 많은 어려움을 보인다

 

전두엽 발달 지연, ADHD 증상 나타나 

ADHD 발병의 정확한 원인은 불명확하다다만 뇌의 신경생물학적 원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특히 대뇌에 있는 전두엽은 충동 조절반응 억제실행 능력 등을 주관하는 중요 기관으로 전두엽의 발달 지연으로 다양한 ADHD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전두엽은 뇌 기관 중 가장 늦게까지 발달을 지속하기에 나이가 들면서 주의산만충동성과잉행동 등의 증상들이 호전을 보인다그러나 증상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성인기까지 증상이 남는다즉 ADHD는 뇌의 기능적 이상이 확인되는 질환으로 많은 연구를 통해 가족력유전적 요인도 연관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물치료 중요부모 교육학습·인지행동치료 보완적 

ADHD의 치료는 일단 소아 ADHD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조아랑 교수는 “ADHD는 뇌의 기능적 질환으로부모가 양육을 잘못해서 생기는 질환도 아니다.”라면서 부모나교사교육환경의 문제 때문에 잘 지내던 우리 아이가 ADHD가 될 수는 없다.”라고 강조했다또한, “정신만 차리면 나아질 수 있다라는 식의 병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는 위험하다.”고 덧붙였다

 

ADHD의 치료는 일차적으로 약물치료가 제시된다약물치료는 입맛 저하오심구토 등 일시적 불편함은 초래할 수 있다약물치료가 해롭다는 편견이 존재하지만일시적 불편감 외 심각한 부작용 및 약물치료로 인한 성장지연은 보고된 바가 없다약물치료와 더불어 아동 상태에 맞는 양육 방향을 제시하는 부모 교육’, ‘사회기술 훈련’, ‘학습치료와 같은 인지행동치료가 상호보완적으로 필요하다부모 교육은 가족치료적 성격을 띠게 된다만약 우울불안 등의 동반 질환이 있으면 정신치료가 도움이 된다.

 

올바른 ADHD 이해가 치료의 시작

산만한 아동은 부모가 격려하며 함께 숙제나 공부하는 것만으로도 문제 행동이 줄어들기도 한다이와 함께 또래보다 짧은 시간 동안 무언가 해 낼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고 집중하는 모습을 칭찬하면서 아이가 기쁜 마음으로 노력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중요한 것은 빠른 치료 시기이다의심 증상이 있으면 시간을 끌지 말고 조속히 전문 의료진을 찾아 치료받는 것이 필요하다

 

조아랑 교수는 “ADHD는 뇌 질환이라는 올바른 인식이 자리 잡아야 한다.”라면서 아이들이 도움이 필요할 경우 당연히 병원에서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강조했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유니세프_기본배너
국민신문고_기본배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